프로그래밍 이야기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배열(Array) 이해하기 - 1프로그래밍 이야기/JavaScript 공부 2020. 5. 12. 13:26
객체를 활용하면 다양한 속성을 만들어서 하나의 객체에 여러 가지 값을 담아낼 수 있다. 여러 가지 값을 담을 수 있다는 특징 하나만으로도, 정말 다양한 작업을 가능하게 해 주지만, 아쉽게도 객체의 속성들은 일정한 순서를 가지지 않는다. 다시 말해, 객체 안에 다양한 값들이 존재하지만 그 값들끼리는 어떤 연관성을 가지기가 어렵다. 그래서 순서가 있는 값들의 집합을 만들고 싶을 때는 배열(Array)이라는 것을 활용하면 된다. 자바스크립트에서 배열도 객체의 한 형태로 분류되지만, 일반적인 객체와는 조금 다른 형태의 객체다. 배열 선언 let arr1 = new Array(); let arr2 = []; 객체는 이렇게 두 가지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는데, 중괄호를 열고 닫는 식으로 객체를 많이 생성하듯이 배열..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for 반복문 이해하기프로그래밍 이야기/JavaScript 공부 2020. 5. 11. 00:05
while반복문과 마찬가지로 자바스크립트에서 반복 동작을 만들 수 있는 for반복문에 대해서 살펴보자. 기본구조 for반복문은 while에 비해서 문법이 상대적으로 더 복잡하지만 while문보다는 훨씬 더 많이 쓰이는 반복문이다. for (초기화; 반복조건; 동작후동작) { 동작 } for반복문도 while반복문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구조를 보면 시작하는 키워드만 다를 뿐 흡사 if문과 비슷하다. 다만 조금 다른 점이라고 하면 for라는 키워드로 시작해서 그 이후 소괄호에 작성하는 내용들이 조금 복잡해 보인다. 하나씩 살펴보자. 1. 초기화 초기화 부분은 반복문이 실행될 때 가장먼저, 그리고 딱 한번 실행되는 코드이다. 일반적으로 반복을 카운트할 카운터 변수를 생성하는데 많이 쓰인다. 여기서 생성하는 변..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while 반복문 이해하기프로그래밍 이야기/JavaScript 공부 2020. 5. 10. 01:23
프로그램을 만들다 보면 일정한 패턴을 가진 동작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할 때가 있다. 예를 들어 콘솔에 1부터 10까지 숫자를 출력하는 경우를 보면, 일정하게 숫자 1이 증가하는 패턴을 가지고 있다. console.log(1); console.log(2); console.log(3); console.log(4); console.log(5); console.log(6); console.log(7); console.log(8); console.log(9); console.log(10); 이렇게 무작정 1부터 10까지 콘솔에 출력하기 보다는, 일정한 패턴을 찾아서 반복문을 활용하면 훨씬 더 효율적인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코드를 반복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오늘은 while 반복에..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switch문 조건문 이해하기프로그래밍 이야기/JavaScript 공부 2020. 5. 8. 02:08
if문과 삼항 연산자 외에 자바스크립트에서 조건에 따라 다른 동작을 하는 것이 하나가 더 있었다. 바로 switch문이다. 조건식을 두고 조건의 진위 여부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if문과는 다르게 switch문은 어떤 값을 가진 대상을 두고 조건값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동작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문법 문법은 다음과 같다. switch (대상) { case 조건값1: 동작 break; // 생략가능 case 조건값2: 동작 break; // 생략가능 // ... default: 동작 } switch라는 키워드 뒤에 소괄호를 열어 비교할 대상을 작성하고, 중괄호로 블록문을 만든다. 블록문 안에 한 번 들여 써서 case 키워드를 작성하고 조건값을 입력한 뒤 콜론(:)으로 case문의 끝 지점을 구분해 준다..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삼항연산자 (조건부 연산자) 조건문 이해하기프로그래밍 이야기/JavaScript 공부 2020. 5. 7. 01:48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if문, 조건문 이해하기에 이어서 자바스크립트의 조건문에 해당하는 삼항 연산자에 대해서 정리해보자. 조건부 연산자라고 불리기도 하고, 삼항 조건 연산자라고 부르기도 한다. 삼항 연산자는 자바스크립트에서 유일하게 반드시 피연산자 3개가 필요한 연산자로 보통 if/else문의 단축형으로 활용된다.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연산자(Operators) 이해하기 - 1에서도 정리한 적이 있는데 삼항 연산자의 문법은 아래와 같은 모양이다. // 조건 ? 값1 : 값2 let age = 20; console.log(age >= 19 ? '성인입니다.' : '미성년자입니다.'); // 성인입니다. 삼항 연산자의 조건은 if문의 조건 부분에 해당하고, 값1은 if문의 동작 ..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if문 조건문 이해하기프로그래밍 이야기/JavaScript 공부 2020. 5. 6. 00:27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프로그램이 어떤 조건에 따라 다르게 동작해야 할 때가 필요하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이럴 때 if문과 삼항 연산자를 이용하면 되는데, 이번에는 if문에 대해서 정리해보자. if 기본 문법 if (조건식) 동작; if문은 if라는 키워드로 시작해서 소괄호를 열어 그 안에 조건식을 작성한 뒤, 바로 뒤에 조건식이 참일 경우에 동작할 코드를 작성하면 된다. let a = 1; if (a > 0) console.log('hello!'); // hello! 이렇게 한 줄로 작성해도 제대로 동작하지만, 일반적으로 이렇게 한 줄로 간단하게 동작할 코드를 작성하는 일이 많지 않기 때문에 두 가지 이상의 여러 가지 동작들을 작성해야 할 때는 중괄호로 블록 문을 만들어서 그 안에 코드를 담으면 된다. ..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null, undefined 차이 이해하기프로그래밍 이야기/JavaScript 공부 2020. 4. 30. 14:40
자바스크립트에는 "없으러움(?)"을 표현하는 두 가지 자료형이 있다. 바로 null과 undefined.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자료형(Data Type) 이해하기에서 정리했던 것처럼 이 둘은 자료형이면서 동시에 값인 독특한 특징이 있고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형변환(Type Conversion) 이해하기 - 1에서 정리했던 것 처럼 두 값 모두 falsy한 값에 해당한다. 의미도 비슷하고 falsy한 값이기 때문에, 크게 구분해야 될 필요성을 못 느낄 수도 있지만, 가볍게라도 둘의 차이를 이해하고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가장 큰 차이는 '명시적 없음'과 '암시적 없음'..? 이 둘은 보통 빈 값이냐, 값을 할당하지 않았냐를 두고 구분한다. 화장실 휴지걸이 이미지로 많이 비교를..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형변환(Type Conversion) 이해하기 - 3프로그래밍 이야기/JavaScript 공부 2020. 4. 26. 01:16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형 변환(Type Conversion) 이해하기 - 2 에서 정리하던 암시적 형변환에 대해서 계속해서 정리해보자. 동치 연산자 ( ==, !=, ===, !== ) // string console.log('123' == 123); // true console.log('123' === 123); // false console.log('' == 0); // true console.log('' === 0); // false console.log('' == false); // true console.log('' === false); // false console.log('' == null); // false console.log('' === null); // false con..